오늘은 하루 종일 머릿속에 상생 페이백 생각뿐이었다. 주변에서 자꾸 물어보기도 하고, 나도 헷갈리는 게 많아서 “이거 제대로 정리해야겠다” 싶었다.
막상 파고들다 보니 아… 이거 은근히 까다롭네 싶었다.
상생 페이백이란? 지원금 조건 정리
상생 페이백은 2025년 9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는 정부 지원 제도다. 작년 월평균 카드 사용액보다 이번에 더 쓰면, 그 증가분의 20%를 환급해 준다. 월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년에 월평균 100만 원을 썼는데, 올해 9월에 120만 원을 쓰면 늘어난 20만 원의 20%인 4만 원을 돌려받는다.
이걸 3개월 동안 하면 최대 30만 원 지원금이 되는 구조다.
상생 페이백 결제 수단 – 되는 것과 안 되는 것
오늘 가장 많이 헷갈렸던 부분이 바로 결제 수단이다. 공문을 확인해 보니 답은 명확했다.
✅ 인정되는 결제수단: 신용카드, 체크카드, 삼성페이·애플페이(본인 카드 연결 시)
❌ 불인정 결제수단: 현금, 계좌이체, 네이버페이·카카오페이 등 간편결제, 상품권, QR결제
정리하자면, 카드 자체로 결제하는 방식만 실적으로 인정된다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한다.
상생 페이백 소비 인정 사용처
지원금을 받으려면 “어디서 쓰느냐”가 정말 중요하다. 괜히 안 되는 곳에서 결제하면 환급도 못 받고, 복권 응모 기회도 놓치게 된다.
✅ 소비 인정 사용처:
- 동네 음식점, 카페(가맹점 기준)
- 의원급 병원(내과, 치과, 한의원 등)
- 동물병원
- 소규모 상점, 편의점(가맹점 기준)
정리하자면 동네 상권·생활 소비는 인정된다고 보면 된다.
상생 페이백 소비 불인정 사용처
반대로 아무리 많이 써도 실적에 포함되지 않는 곳도 있다. 이 부분을 잘 모르고 쓰면 지원금이 줄어드니 꼭 체크해야 한다.
❌ 소비 불인정 장소
- 대형마트: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코스트코 등
- 백화점, 아울렛, 면세점, 복합몰(스타필드, 롯데몰 등)
- 온라인몰, 배달앱, 홈쇼핑, T커머스
- 전자제품 매장: 삼성스토어, LG베스트샵, 하이마트 등
- 브랜드 매장: 유니클로, 노스페이스, 뉴발란스 등
- 대형병원(종합병원, 법인 운영 치과·한방병원 등)
- 세금, 보험료, 공과금, 등록금, 기부금, 자동이체
한마디로, 대형 유통업체·온라인 거래·비소비성 지출은 전부 제외라고 보면 된다.
상생 페이백 신청 기간 – 10월 12일 전이 유리
상생 페이백 신청은 11월까지 가능하지만, 10월 12일 전까지 꼭 해야 한다. 그 이유는 이 날짜까지 신청해야 상생 소비 복권에도 자동 응모되기 때문이다.
복권은 5만 원 사용 시 1장씩 주어지는데, 물론 이것도 소비 인정 사용처에서 결제한 금액만 카운트된다. 그러니 지원금 + 복권 두 가지 혜택을 모두 챙기려면 10월 12일 전에 신청하는 게 가장 유리하다.
상생 페이백 활용 꿀팁
오늘 정리하면서 내린 결론은 단순하다. “카드 쓸 거면 대형마트 말고 동네에서 쓰자.”
동네 슈퍼, 동네 병원, 소규모 상점은 모두 인정이 되니까 지원금도 받고 복권 응모 기회도 생긴다. 반대로 대형마트나 온라인몰에서 아무리 많이 써도 인정이 안 되니, 습관을 조금 바꿀 필요가 있다.
상생 페이백 요약
- 기간: 2025년 9월~11월
- 환급: 작년 대비 늘어난 소비액의 20%, 최대 30만 원
- 결제: 신용·체크카드 + 삼성페이·애플페이 가능
- 소비 인정: 동네 가게, 의원급 병원, 동물병원
- 소비 불인정: 대형마트, 백화점, 온라인몰, 대형병원, 세금·보험료 등
- 신청: 10월 12일 전까지 해야 환급 + 복권 둘 다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