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뉴스를 보다가 꽤 흥미로운 정부 지원 정책을 발견했다. 바로 상생 페이백 제도인데, 최대 30만 원까지 돌려받을 수 있는 혜택이라서 관심이 생겼다. 지원 규모도 무려 1조 3,700억 원에 달한다고 하니, 상당히 큰 사업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처럼 생활비를 아끼려는 사람들에게는 놓치면 아까운 정책 같아 꼼꼼히 정리해봤다.

상생페이백 신청하러 가기

상생 페이백이란?

상생 페이백은 지난해 월평균 카드 사용액보다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의 카드 사용액이 증가했을 때, 증가분의 20%를 돌려주는 제도다. 단, 현금이 아니라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된다.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이나 동네 상점 등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지역 경제를 살리는 취지도 담겨 있다.

핵심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지원 대상: 만 19세 이상 국민과 외국인 (단, 2024년 본인 명의 카드 실적이 있어야 함)
  • 지원 한도: 월 최대 10만 원, 3개월 총 30만 원
  • 환급률: 소비 증가액의 20%
  • 지급 방식: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지급

즉, 지난해보다 소비를 늘릴수록 혜택이 커지지만, 어디서나 소비가 인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포인트다.

상생 페이백 신청 방법

신청은 2024년 9월 15일 오전 9시부터 11월 30일 자정까지 가능한걸로 나온다. 

상생페이백 신청하러 가기

첫 주(9월 15~19일)는 신청자 폭주를 막기 위해 출생연도 끝자리 기준 5부제가 적용된다. 예를 들어 출생연도 끝자리가 1·6이면 월요일, 2·7이면 화요일 신청 가능하다. 9월 20일부터는 누구나 자유롭게 신청 가능하다.

신청은 단 한 번만 하면 되며, 매달 다시 할 필요는 없다. 별도의 소비 내역 제출도 필요 없지만, 환급을 받으려면 반드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앱 가입이 필수다. 신청 후에는 지난해 소비 실적과 이번 소비 실적을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지난해 기준 소비액은 신청일로부터 2일 뒤에, 9월 이후의 소비액은 9월 17일부터 확인 가능하다.

소비 인정·제외 사용처

가장 중요한 부분은 소비처 제한이다. 아무 데서나 결제한다고 해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인정되지 않는 소비처는 다음과 같다.

  • 백화점, 아울렛, 대형마트, 기업형 슈퍼마켓
  • 대형 전자제품 매장, 프랜차이즈 직영점
  • 온라인 쇼핑몰, 배달앱

흥미로운 점은, 소상공인 매장이라고 해도 키오스크·테이블 오더 등 무인 결제는 제외라는 점이다. 반드시 매장 내 카드 단말기를 통해 결제해야 인정된다. 결국 정부가 진짜 원하는 건 소상공인 매장에서의 직접 소비 확대라는 것이 느껴졌다.

상생 페이백 환급 시기

환급은 3개월치가 한 번에 몰아서 지급되는 방식이 아니다. 소비가 증가한 달마다 순차적으로 지급된다.

  • 9월 소비 증가분 → 10월 15일부터 지급 (단, 10월 9일까지 신청 완료해야 함)
  • 10월 소비 증가분 → 11월 15일부터 지급
  • 11월 소비 증가분 → 12월 15일부터 지급

즉, 늦게 신청하면 9월 소비분 환급은 받을 수 없게 된다. 빠르면 빠를수록 유리하다는 얘기다.

상생 페이백 활용 팁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이번 제도를 잘 활용하려면 소상공인 매장에서 카드를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평소 동네 식당에서 현금을 쓰던 사람이라면 이번 기회에 카드로 결제하면 페이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한 달에 50만 원 이상 소상공인 매장에서 소비할 수 있다면 꽤 쏠쏠한 환급을 기대할 수 있다.

다만, 온누리상품권은 사용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환급받은 뒤 어디에서 쓸 수 있는지도 미리 확인해두는 게 좋다. 특히 전통시장을 자주 가지 않는 사람이라면 활용도가 떨어질 수 있으니, 생활 패턴에 맞는지 고려해야 한다.

상생 페이백 요약 정리

오늘 정리한 내용을 한눈에 보자.

  • 소비 증가분의 20%를 온누리상품권으로 환급
  • 월 최대 10만 원, 총 30만 원까지 가능
  • 신청은 9월 15일~11월 30일, 단 한 번만 하면 됨
  • 첫 주는 출생연도 5부제, 이후 자유 신청 가능
  • 사용처 제한 존재 (대형마트, 온라인몰, 배달앱 등 제외)
  • 환급은 매달 지급, 늦게 신청하면 9월분 놓칠 수 있음

이번 상생 페이백은 단순한 소비 지원책이라기보다는, 소상공인 매장에서 소비를 장려하는 정책이라는 점이 핵심이다. 최대 3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으니, 생활비 절약을 생각하는 사람들에게는 꽤 유용한 제도일 수 있다. 나도 이미 9월 15일 신청 시작일을 달력에 표시해뒀다. 관심 있는 분들도 미리 준비해두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