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요즘 많은 분들이 관심 갖고 있는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에 대해 정리해봤다. 최근에 절세 계좌를 어떻게 활용하면 좋을지 고민하던 중, 연금저축이나 ISA 계좌에서 나스닥100 ETF를 담아보는 것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솔직히 말해서, 나스닥100이라는 지수는 요즘 투자자들에게 거의 "신" 취급을 받을 만큼 수익률이 좋다. 최근 20년 동안 S&P500보다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고, 그만큼 국내 자산운용사들도 앞다투어 나스닥100을 추종하는 ETF들을 출시했다. 대표적으로는 미래에셋의 TIGER, 삼성자산운용의 KODEX, 한국투자의 ACE, 그리고 KB의 RISE가 있다.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 비교
처음엔 "나스닥100 추종 ETF 하나만 고르면 되겠지" 했는데, 막상 검색해 보니 비슷비슷한 이름의 ETF가 수두룩하다. TIGER, KODEX, ACE, KBSTAR… 다 나스닥100을 추종한다는데 뭐가 다른 걸까?
알아보니 이건 자산운용사마다 나스닥100을 추종해서 출시한 자체 상품이더라. 결국 핵심지수는 같고, 차이는 누가 운용하느냐, 수수료가 얼마냐, 주당 가격이 얼마냐 정도였다.
| ETF 이름 | 자산운용사 | 운용규모 | 주당 가격 (2025년 기준) | 특징 |
|---|---|---|---|---|
| TIGER 미국나스닥100 | 미래에셋 | 약 5조 원 | 약 14만 원 | 가장 오래된 원조 ETF, 가격 부담 있음 |
| KODEX 미국나스닥100 | 삼성자산운용 | 약 3조 원 | 약 2만 원 | 주당 가격 낮고 안정적인 대형사 |
| ACE 미국나스닥100 | 한국투자신탁 | 약 1조 원 | 약 2만 원 | 최근 수수료 인하로 경쟁력 상승 |
| KBSTAR 미국나스닥100 | KB자산운용 | 약 1조 원 | 약 2만 원 | 국민은행 계열, 안정성 강조 |
수수료는 낮을수록 좋은 거 아닌가?
처음엔 수수료 낮은 ETF만 찾으면 될 줄 알았다.
워렌 버핏도 "수수료 낮은 게 최고"라고 했으니까. 그런데 막상 국내 ETF는 사정이 조금 다르다. 고정 수수료가 아니라 기타 비용이 매달 바뀌는 구조라, 실제 총비용은 매번 달라진다고 한다.
실제로 2022년엔 라이즈 ETF가 제일 저렴했지만, 지금은 ACE ETF가 수수료를 확 낮추면서 순위가 또 뒤바뀌었다고. 이러니 정확한 비교가 어려울 수밖에 없다.
주당 가격도 다 다르다?
가장 놀랐던 건 주당 가격 차이.
KODEX, ACE, KBSTAR는 2만 원 정도인데, TIGER는 한 주에 무려 14만 원!
처음엔 "이거 뭔가 다른 상품인가?" 싶었는데, 알고 보니 TIGER는 2010년에 상장된 최초의 나스닥100 ETF라서 지금까지 가격이 계속 오른 거라고. 다른 ETF들은 2020년 이후에 생겨서 아직 가격이 낮은 거고.
매달 정액으로 투자하려는 내 입장에서는 14만 원은 부담이라 자연스럽게 KODEX나 ACE 쪽으로 눈길이 갔다.
나의 선택: KODEX 미국나스닥100
최종적으로는 코덱스(KODEX) 미국나스닥100을 선택했다.
삼성자산운용이란 점에서 안정감이 있고, 실제로 삼성증권이나 환전 수수료도 괜찮다는 얘기를 많이 들었다. 삼성이라는 이름만으로도 뭔가 신뢰감이 들기도 했고.
게다가 주당 가격도 2만 원대라 부담 없고, 운용규모도 3조 원이 넘는 수준이라 유동성도 충분했다.
내가 만약 친구한테 하나 추천해달라고 한다면, “그냥 코덱스로 가” 라고 말할 것 같다.
투자 메모: 절세 계좌 꼭 활용하기!
이번에 알게 된 꿀팁 하나.
국내 상장 ETF는 무조건 일반 계좌보다 ISA나 연금저축 같은 절세 계좌에서 매수하는 게 유리하다고 한다. 같은 ETF라도 계좌 선택에 따라 세금 차이가 크기 때문!
나도 그래서 이번 KODEX ETF는 연금저축계좌 안에서 매수했다.
장기적으로 가져갈 예정이라, 수익이 나도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으니 더 안심이다.
오늘의 정리 📝
- 국내 상장 나스닥100 ETF는 대부분 동일한 지수를 추종하지만, 운용사와 주당 가격 차이 존재
- 수수료는 고정이 아니라 변동 가능성이 있어 단순 비교 어렵다
- 2만 원대 소액 투자 가능한 ETF는 KODEX, ACE, KBSTAR
절세 계좌에서 투자하는 게 핵심 팁!
다음엔 해외직구 ETF와 국내 상장 ETF의 세금 차이도 좀 더 공부해봐야겠다.
ETF 공부, 하면 할수록 더 재미있어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