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 비교 표

 “둘 다 정부가 지원해주는데, 뭐가 더 나을까?”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모두 청년 자산 형성을 위한 대표적인 금융상품입니다.
하지만 가입 조건, 금리, 정부 지원금, 세금 혜택에서 차이가 크기 때문에 내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상품을 항목별로 비교하고, 실제 상황별 추천 전략까지 제시하겠습니다.

👉혹시 청전도약계좌 신청법이나 이게 뭔지 모르시겠다면 이전 포스팅 참고하세요

청년도약계좌 신청부터 혜택까지 완벽 정리 (2025년 최신)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한눈에 비교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가입 나이 만 19~34세 (군복무 최대 6년 연장 가능) 만 19~34세 (군복무 최대 6년 연장 가능)
가입 소득 연 7,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가구소득 250% 이하 연 3,600만 원 이하(총급여 기준)
납입 기간 5년 2년
월 납입 한도 최대 70만 원 최대 50만 원
정부 지원금 월 최대 2.4만 원 이자에 대한 세금 비과세 + 우대금리
금리 은행별 상이, 우대금리 적용 가능 고정금리+우대금리(4~6%대)
세금 혜택 만기 시 이자소득세 15.4% 전액 면제 이자소득세 비과세
특징 장기 저축 + 정부지원금 + 세금 면제 단기 고금리 적금 + 세금 면제

청년도약계좌 장점과 단점

장점

  • 장기(5년) 저축으로 목돈 마련 가능

  • 정부 기여금 매월 지급

  • 만기 시 이자소득세 전액 면제

  • 청년희망적금 만기금 연계 가능

단점

  • 가입 조건이 상대적으로 까다로움(가구소득 포함)

  • 장기간 유지 필요 → 중도해지 시 불이익


청년희망적금 장점과 단점

장점

  • 가입 소득 기준이 단순(연 3,600만 원 이하)

  • 단기(2년) 고금리 적금 가능

  • 만기 시 목돈 회수까지 기간 짧음

단점

  • 정부 지원금 없음(금리 혜택 위주)

  • 장기 자산 형성에는 한계


어떤 상품이 나에게 유리할까?

  • 장기 목돈 마련 목표 → 청년도약계좌

    • 5년간 꾸준히 저축 가능하고, 정부 지원금과 세금 혜택을 모두 받고 싶다면 선택

    • 특히 결혼, 주택 구입 등 중장기 자금 계획이 있는 경우 유리

  • 단기 자금 마련 목표 → 청년희망적금

    • 2년 만에 비교적 큰 금액을 만들고 싶거나, 금리 혜택을 극대화하려면 적합

    • 장기 납입에 부담이 있는 경우 추천

💡 :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청년도약계좌로 전환하면, 단기+장기 자산 형성 전략을 동시에 가져갈 수 있습니다.


실제 시뮬레이션 예시

  • 청년도약계좌

    • 월 70만 원 × 60개월 = 4,200만 원(원금)

    • 연 4% 금리 적용 시 약 460만 원(이자)

    • 정부지원금 약 144만 원

    • 총 수령액 약 4,800~5,000만 원

  • 청년희망적금

    • 월 50만 원 × 24개월 = 1,200만 원(원금)

    • 연 5% 금리 적용 시 약 60만 원(이자, 비과세)

    • 총 수령액 약 1,260만 원


선택 전 체크리스트

  1. 내 소득과 가구소득 조건 확인

  2. 목표 기간: 단기(2년) vs 장기(5년)

  3. 월 납입 가능 금액

  4. 중도해지 가능성 여부

둘 다 청년을 위한 훌륭한 금융상품이지만, 목표 기간과 자금 계획에 따라 선택이 달라집니다.
단기 자금 마련은 청년희망적금, 장기 목돈 형성은 청년도약계좌가 유리하며, 두 상품을 순차적으로 활용하면 시너지가 극대화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