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는 실업급여 신청, 이직, 경력 증명 등 다양한 상황에서 꼭 필요한 절차입니다. 특히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충족 여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정확한 조회 방법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PC와 모바일에서 고용보험 가입이력을 조회하는 모든 방법과 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1.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가 중요한 이유

  • 실업급여 자격 확인: 퇴사 전 18개월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했는지 여부를 확인

  • 이직·퇴사 시 경력 증명: 새로운 직장에서 요구하는 경력 서류 제출

  • 정부 지원사업 신청: 청년내일채움공제, 직업훈련 지원금 등 자격 조건 검증

💡 TIP: 조회한 내역은 PDF 또는 이미지 파일로 저장해두면, 나중에 재발급할 필요 없이 편리하게 제출할 수 있습니다.


2. PC에서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방법

2-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이용

  1.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접속

  2. 간편인증, 공동인증서, 금융인증서 중 하나로 로그인

  3. 상단 메뉴에서 [민원 > 개인민원 > 피보험자 가입이력 조회] 선택

  4. 조회 기간 설정 후 검색 → 결과 확인 및 PDF 저장 가능

2-2. 정부24에서 조회

  1. 정부24 홈페이지 접속

  2. 검색창에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입력

  3. 공동·금융인증서 로그인

  4. 실시간 발급 후 바로 출력 또는 PDF 저장 가능


3. 모바일에서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방법

3-1. 정부24 앱 활용

  1. 정부24 앱 설치 (안드로이드·iOS 모두 가능)

  2. 로그인 후 전체 서비스 > 고용보험 자격 이력 내역서 선택

  3. 본인 인증 후 즉시 확인 및 파일 저장 가능

3-2. 모바일 웹 브라우저 이용

4. 조회 시 자주 발생하는 오류와 해결 방법

  • 인증서 오류: 브라우저 캐시 삭제 후 재시도

  • 이력 누락: 관할 근로복지공단 지사에 ‘피보험자격 확인청구서’ 제출

  • 사업장 미가입: 고용노동청에 신고 가능


5.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 시 주의할 점

  • 공용 PC에서 로그인 후 반드시 로그아웃

  • PDF 저장 시 파일명에 조회 날짜 기재 (예: 고용보험_가입이력_2025-08-10.pdf)

  • 개인 정보가 포함된 문서이므로 외부 공유 주의


6. 결론

고용보험 가입이력 오류·누락 해결 방법 총정리

고용보험 가입이력 조회는 실업급여, 이직, 정부 지원금 신청의 첫 단계입니다.

PC와 모바일 모두 실시간 조회가 가능하니, 필요한 순간 지체 없이 발급받아 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실업급여 신청 전 180일 기준 계산법을 상세히 다룰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