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


근로장려금 신청은 했는데, 언제쯤 들어오는지 매년 헷갈리시죠? "도대체 언제 입금되나요?", "지금 신청해도 되나요?", "나도 받을 수 있나요?"와 같은 질문을 많이들 하시는데요. 이 글에서는 2025년 근로장려금과 관련해 가장 궁금해하실 만한 내용 7가지를 콕 집어 정리해봤습니다.


근로지원금 신청방법 이미지



1. 2025 근로장려금 지급일

가장 많이 묻는 질문입니다. 올해 전기 신청분 **근로장려금 지급일은 2025년 8월 28일(목)**로 국세청을 통해 공식 확인되었습니다. 최근 몇 년간 9월 예정이던 지급일이 8월 말로 앞당겨진 전례가 있어, 이번에도 그 패턴이 유지된 셈입니다.

⚠️ 8월 28일 꼭 기억해 두세요!


2. 신청기간

혹시 전기 신청 기간(5.1~6.2)을 놓치셨다면 2025년 12월 1일까지 기한 후 신청이 가능합니다. 다만 이 경우 5% 감액이 적용되므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조금 줄어듭니다.

예를 들어,

  • 단독 가구: 최대 165만 원 → 약 157만 원

  • 홑벌이 가구: 285만 원 → 약 270만 원

  • 맞벌이 가구: 330만 원 → 약 313만 원

가능하면 전기 신청을 추천드려요.


3. 근로장려금 지원대상

가장 중요한 기준은 아래 두 가지입니다:

  • 가구 형태별 총소득

  • 2024년 6월 1일 기준 재산 2억 4천만 원 미만

가구 유형총소득 기준
단독 가구2,200만 원 이하
홑벌이 가구3,200만 원 이하
맞벌이 가구4,400만 원 이하

소득이 조금이라도 있다면 무조건 확인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4. 최대 지급액

가구 유형별 최대 지급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구 유형최대 지급액
단독 가구165만 원
홑벌이 가구285만 원
맞벌이 가구330만 원

실제 지급액은 소득 수준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5. 작년이랑 기준이 달라졌나요?

네, 특히 맞벌이 가구의 소득 기준이 달라졌습니다. 2024년에는 3,800만 원 이하였지만, 2025년에는 4,400만 원 이하로 상향되었습니다.

작년 기준으로 안 될 거라 생각하고 포기했던 분들도, 올해는 다시 한번 확인해보세요!


6. 신청 방법

신청 방법은 다양하고 간단합니다:

편한 방법을 골라서 진행하시면 됩니다.


7. 세금 체납자나 부정수급자는 어떻게 되나요?

  • 세금 체납자: 지급액의 최대 30% 차감

  • 부정수급자: 최대 5년간 지급 제한 + 기존 지급액 환수 + 가산세 부과

정상 신청이 중요하고, 사실과 다르게 신청하면 큰 불이익이 따릅니다.


📅 한눈에 요약 정리

  • 지급일: 2025년 8월 28일

  • 기한 후 신청 가능: 12월 1일까지 (단, 5% 감액)

  • 총소득/재산 기준 확인 필수

  • 가구 유형별로 최대 330만 원까지 지급 가능

  • 신청은 홈택스, 전화, 세무서 등에서 간편하게 가능

혹시 아직 신청 안 하셨다면 지금이라도 꼭 확인해보시고, 주위에 모르고 계신 분들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