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금자리론 vs 디딤돌대출


집을 처음 마련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가 바로 주택담보대출 선택입니다. 특히 정부의 정책자금 대출인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은 조건이 비슷해 보이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꽤 차이가 있어요. 저도 처음엔 헷갈려서 하나하나 정리해봤는데요, 오늘은 이 두 상품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할지 알려드릴게요.



주택대출의 기본 조건부터 구분하기

먼저, 본인이 무주택자인지 1주택자인지부터 확인하세요.

  • 1주택자: 보금자리론만 신청 가능 (단, 기존 주택 3년 내 처분 조건)

  • 무주택자: 디딤돌과 보금자리론 모두 선택 가능하지만, 결혼 여부에 따라 달라짐

    • 미혼: 보금자리론이 더 유리함 (디딤돌은 3억 이하 주택만 가능)

    • 기혼: 조건에 따라 두 상품 모두 가능



보금자리론과 디딤돌 대출 비교

보금자리론과 디딤돌대출 조건 비교표

항목보금자리론디딤돌대출
주택 가격 기준6억 이하기본 5억, 조건 충족 시 6억까지 가능
주택 수1주택 가능 (처분 조건)무주택 세대주만 가능
자산 기준제한 없음4억 8,800만 원 이하
상환 기간최대 50년최대 30년
소득 조건일반: 7천만 원 / 신혼: 8,500만 원 등일반: 6천만 원 / 신혼: 8,500만 원 등
최대 대출 한도최대 4억 2천만 원최대 4억 원
금리(2024.6 기준)3.65% ~ 4.05%2.85% ~ 4.15% (조건 따라 다름)
반공제 적용없음 (아파트 기준)수도권 아파트는 의무 적용 (한도 차감 발생)

보금자리론과 디딤돌 대출의 주요 차이점 정리

  1. 주택 보유 여부

    • 보금자리론: 1주택 보유자도 일정 조건(3년 내 처분) 하에 이용 가능

    • 디딤돌 대출: 무조건 무주택 세대주만 가능

  2. 상환 기간과 한도

    • 보금자리론은 50년까지 장기 상환 가능, 최대 한도 4억 2천만 원

    • 디딤돌 대출은 30년 상환, 최대 한도 4억 원

  3. 소득과 자산 요건

    • 보금자리론은 소득 기준이 넉넉하고 자산 심사가 없음

    • 디딤돌 대출은 자산 및 소득 제한이 더 엄격

  4. 금리 및 우대 혜택

    • 보금자리론은 최대 1% 우대 금리 적용 가능

    • 디딤돌 대출은 일반적으로 0.5% 우대 금리 제공 (다자녀의 경우 최대 0.7%)



개인 조건에 따라 달라지는 선택 기준

보금자리론은 비교적 완화된 조건으로 자산이나 주택 수의 제한이 덜하고, 상환 기간도 50년까지 설정할 수 있어 장기적으로 여유 있게 상환하고 싶은 분께 유리합니다. 반면 디딤돌대출은 금리는 더 낮지만 무주택 세대주 조건이나 자산 기준 등이 까다롭고, 수도권 아파트는 반공제도 적용돼 실제 대출금이 줄어들 수 있어요.

또한, 보금자리론은 금리에 대한 우대 혜택이 최대 1%까지 가능한 반면, 디딤돌은 일반적으로 0.5% 수준이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이 차이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요약: 이런 분들께 각각 추천합니다

  • 보금자리론 추천: 1주택자, 미혼 무주택자, 자산 많은 경우, 장기 상환 원하는 경우

  • 디딤돌대출 추천: 부부 합산 소득이 낮고, 무주택 세대주로 자산 조건 충족하는 경우



대출 선택, 숫자보다 나에게 맞는 조건이 중요해요

두 상품 모두 무주택자 또는 서민의 주거 안정을 위한 좋은 정책 자금이지만, 디테일한 조건을 꼼꼼히 따져보면 나에게 더 유리한 선택지가 분명히 보입니다. 특히 대출 한도, 금리, 상환 기간뿐만 아니라 반공제 적용 여부까지 확인하셔야 실제로 받을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질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 주세요. 다음에는 전세자금대출이나 신혼부부 특별공급에 대해 정리해볼게요!



👉 함께 읽으면 좋은 관련 글

  • [2025년 신혼부부 특별공급]

  • [청년 전세자금대출 완전 분석]

  • [생애 최초 주택구입 혜택 총정리]